외국서 8년정도 학교다니다가 한국으로 공대대학원 막 입학한 신입 석사입니다. 


취업 안돼 알아보는사람, 군대때문에 진학하는사람, 공부하고싶은사람 등등 요즘들어 석사생이 점점 늘어나는걸로 아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라고 이것저것 끄적여 봅니다. 

유학생 입장에서 쓴 글이라 학교의 평판이라든가 외적인 면에선 맞춤형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일반 선배학생의 말이 더 정확할 수 있음을 알립니다. 


우선 내 배경

외국서 학사따고 한국와서 1년반가량 놀았어. 집이 여유롭지 않아서 일하면서 학교 다니면서 엄청 어렵게 생활했거든. 안놀면 자살하겠다 싶어 딱 1년 놀려고 진짜 암껏도 안하고 놀았어. 군대 때문에 장교시험 준비하다 1년이 1년반이 되긴 했지만... 

일단 다들 알겠지만 졸업하고 놀면 경력이 단절되서 취직이 안돼. 해본건 아닌데 다들 그렇대. 

그래서 이후에 어차피 따야할 석사학위, 미리 따놓고 경력인정이라도 받자 싶어 여기저기 알아봤어. 

"꼭 공부가 하고싶은게 아니라면 안가는걸 추천해" 라는 애기 많이 들었을거야. 나도그랬고 지원하는사람들 중 많은사람들도 꼭 공부가 하고싶어서 지원하는건 아닐꺼고 그렇다고 포기하고 싶은 생각도 없겠지만 조금 다녀본결과 꼭 공부가 하고 싶은게 아니라면, 또 군대가 이유가 아니라면 차라리 유학을 가거나 취업을 하라고 권하고싶다. 


우리나라 공대 대학원은 딱 크게 셋정도로 나뉜다고 봐. 

1. 과학기술원 KAIST, UNIST, GIST 등 과학기술원(과학기술대 아님)이란 이름을 붙이고 있는 학교는 전부 포함. 

 - 얘네들은 학비 면제(랩실에서 돈이 나옴), 석사 최대 80만원가량까지 월급 나옴. 얘네가 꿀이야. 갈수있으면 꼭 요런데 가

2. 인서울 대학원 및 유명 대학들

 - 인서울 대학원끼리도 수준이 엄청나게 차이나잖아. 우리나라는 아직 대학원 자체가 제 역할을 한지 얼마 안되서 그런지 외국과 반대로 대학원의 실력과 평판은 학부의 명성과 실력을 따라가. 뭐 좀 웃기긴 하지만 특정 몇 연구실을 제외하곤 학부 탑 3개 대학이 대학원도 좋아. 

3. 그외

 - 첨에 진짜 이해 안갔던게 서울 대학원생들은 지방대 대학원생이나 학부가 탑에 들지 않는 학교들 학생들을 다 조금씩 무시해. 사실 진짜 실력있는 친구들은 대학원은 서울대나 포공 KAIST가지 딴데 안가거든. 그런새@끼들이 왜 무시하는지 이해할수는 없지만 하여튼 한국은 그런가봐. 


각 학교 랩들도 크게 둘정도로 나눌 수 있을것 같어.

1. 신생랩

 - 랩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우선 자대생이 없고 타대생이나 외국인학생이 대부분이야. 우선 신생랩은 과제 따오기가 쉽지 않아서 그런지 월급이란 개념이 별로 없어. 내가 월급 한푼도 못받고 다녀 지금. 심지어 입학금 백만원은 내가부담했어. 학비 650도 6개월로 나눠 월말마다 받고있고... 결국 750이란 돈이 없던 나는 학비 다 빌리고 16살 이후로 못받아본 용돈도 받으면서 학교다니고있어. 알바할시간같은게 없거든.. 신생랩은 최대한 피했으면 한다. 

2. 5년이상 된 랩들

 - 대충 5년쯤 넘어가면 랩들이 안정되고 과제도 여기저기서 따와. 그럼 월급도 조금씩 나올거야. 어차피 석사는 논문 열심히 써서 멋진 커리어 쌓는게 목적이 아니니까 ㅎ 월급받으면서 편하게 사는게 낫다고 생각해. 

3. 연구특화 랩들

 - 얘네들은 월급이고 뭐고 다 잘 모르는데 대부분 외국인학생들을 써. 외국인들은 행정일 안하고 논문만 겁내 읽고 쭉쭉 뽑아내거든. 이런 랩들을 한국인이 들어가면 암껏도 못하고 사무직원처럼 행정 일만 하는거야. 랩원들 명단에 중국인, 아랍계애들이 너무 많다 싶으면 비 추. 



지원 팁 및 느낀점(문제점)

1. 계급사회

 - 유학생활하면서 한국에 관심이 별로 없어서 헬조선이 뭘뜻하는지 몰랐는데 한국엥선 공부좀 했다는 사람들도 다 계급질하고 살어. 군대가면 그런다며. 내가 까이니까 자연스레 내 밑계급 애들을 까며 내리갈굼 문화가 지속된다고. 딱 그거야. 애들 갈구면서 이거해라 저거해라 하고 해오면 기분 짱좋거든. 진짜 몸으로 느끼는 쓰레기새@끼들 때문에 한국은 영영 발전이 없는거구나 싶다. 

2. 지원팁 요약

 - 이제 딱 한학기 다녔는데 그냥 군대갔다와서 취업이나할껄 이란생각 하루에도 수백번씩 한다. 이걸 미필들은 최소 12번 해야하는거야. 평송ㅇ에 같은 얘기 많이 들었잖어. 진짜 난 절대 안그럴줄 알았어. 열심히 하면 다될줄 알았어. 안돼. 헬조선에선 안돼. 

 - 그래도 꼭 대학원 가야겠다 하면 제발 랩문화, 월급, 외국인비율, 역사, 기타 대우 등등 잘 따져보고 가. 짧은시간 아니잖아. 

3. 기타 팁

 - 신생랩인 경우 누가 과제 책임자가 되느냐에 따라 랩의 흥망성쇠가 결정돼. 잘 살펴봐. 돈 허투로 쓰면서 다른 랩원들한테는 비밀로 하는새@끼들 있다 싶으면 백퍼 그랩은 발전 못해. 과제 책임자랑 친해질 수 있다 싶으면 무조건 친해져. 돈관리 할수있다는게 이것저것 유리한게 많다 정말. 

4. 유학생들엑에

 - 군대때문에 유학가고싶어도 못가고 한국대학에서 대학원 다니겠다는사람 나뿐만이 아니라생각한다. 근데 진짜 잘생각해봐. 나 대학생활 내내 교환학생들이랑 어울리며 한국문화에 적응 했는데도 이새@끼들이랑은 못해먹겠더라. 논리라곤 절대 안통하고 '관례'라는게 옳던 그르던 지들 이익에만 부합하면 그대로 따라한다. 이런나라는 왜 안망하나몰라 ㅋ 

5. 논문 팁

 - 논문 멋지게 써서 좋은 저널에 논문 실려보고 싶지? 이거 한국에선 초특급 랩 아니면 불가능하다. 우선 행정일 할게 많아서 시간이 없고, 실험할 장비가 없고, 공부한적이 없으니 (외국은 석사생은 공부하고 박사가 논문쓰잖아. 뭐 아는게 있어야 논문을 쓰지 너네 대학 졸업하자마자 논문 쓸 수 있겠냐?) 암껏도 몰라서 못쓰고. 그냥 쓰레기같은 논문 사수 잘만나면 여러개 받아서 고쳐 내는게 다임. 나도 운이 억수로 좋았다 생각해. 꿈과 희망을 버리고 들어와야 버틸 수 있는 공간이다 한국 대학원생활은.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나 디 아르마스  (0) 2016.12.18
피씨하우스 조립컴퓨터 구매 후기  (0) 2016.12.13
헬조선  (0) 2016.04.01
온라인 '모욕죄' 고소 성립 조건  (0) 2015.07.01
GIGABYTE m6980x 사용/AS 후기  (0) 2015.07.01

한국은 뭘해도 안돼. 

먼훗날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겠지만

지금만큼은 답이 없어. 


친구들을 만나서

희망을 가지라고

너네 목소리 하나하나가 모이면 되지 않겠느냐고 떠들었는데

안돼

아무것도 안된다며 포기하던 새끼들도

뭔가 변화를 꾀할만한 위치에 오르면 개나소나 똑같아지더라


쥐꼬리만한 '가짜 존경심' 이라도 받아보려고 

고등학교때 연애하던 기간보다 짧은 나이차를 자기 모든 역량을 쏟아 확대해석하고

당연히 도덕적인 책임을 물어야만 하는 진중한 일엔

당연하게 못본척 두눈을 감아버리지 


이나라에선 매국노건 빨갱이건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은 

단연코 하나도 없을거라 믿는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씨하우스 조립컴퓨터 구매 후기  (0) 2016.12.13
한국 대학원생활  (0) 2016.05.06
온라인 '모욕죄' 고소 성립 조건  (0) 2015.07.01
GIGABYTE m6980x 사용/AS 후기  (0) 2015.07.01
동서양 생각의 차이.  (0) 2015.04.06

이미 여러 판례들도 존재하고 또 그에 관련된 도움주는 글들이 존재해서 제 경험과 인터넷 글들을 정리해보고자 적습니다. 


1. 도입

고(故)최진실씨 사망이 입법 계기가 되었다네요. 2008년 도입되었습니다. 


2. 성립 조건

이부분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애매하고 또 부정확한 부분이므로 판례와 다른분들 후기를 적절히 조합해 스스로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가. 공연성
나. 특정성
다. '경멸적 표현' 사용


여러 사람이 보는 가운데 범법이 행해졌는가(공연성), 모욕받은사람(나)이 누구인지 특정할수 있는가(특정성), 모욕적인 표현이 사용되었는가를 다 만족해야만 모욕죄가 성립하는데요, 
경멸적 표현이야 뭐 수준 낮은 비꼼정도로도 벌금형 처리된 판례가 있는만큼 조건 부합하는데 문제가 없을것이고
공연성 성립 조건 때문에 개인 쪽지, 1:1대화, 이메일 등 개인적으로 오고가는 '모욕적인 표현' 은 성립조건에 위배되므로 고소불가. 


위 조건을 다 부합하였더라도 가장 문제가 되는건 특정성 입니다. 피해자가 누군지 확실해야 한다는 건데요, 모욕당한 사람이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었다면 고소장 가져가봐야 다 반려처리됩니다. 


닉네임만으로 고소가 된 판례가 존재하긴합니다. 판례기사 - 2015/03/24

이게 가능했던 이유는 예상컨데 고소장이라는게 일단 접수만 되면 왠만해선 다 벌금형 나옵니다. 범법행위가 뚜렷하니까요. 고소장 들고갈만큼 모욕을 당했다면 그 증거자료도 여럿 있을거고 그럼 빼도박도 못하고 벌금 내는거죠. 이게 쉽지 않은건 주로 담당 형사가 고소장 가져가면 반려권고합니다. 

이래서 안되고 저래서 안되니 반려하겠다 라고 나오는거죠. 


저같은 경우도 특정성 결여때문에 고소장 접수가 안되었는데요, 위 판례를 예를 들어가며 설득했다면 접수가 가능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런경우가 없다고 알고계시더라구요. 

여튼 특정성을 확실히 부여하려면 본인 프로필이나 아니면 본인이 직접 1. '나 OO사는 OO다.' 라고 본인을 특정하시고
일부러 욕을 유도했다고 반려시키는 경찰도 있으니까 2. '욕하지마라' 라고 이야기해야한다네요. 
전체적으로 병신들 합주하는것 같은 모양이지만 뭐 그래야 성립한다는데 어쩌겠어요. 


3. 결론

증거도 확실하고 모든 요소도 확실히 만족했는데 고소장 반려하겠다고 나오면 포기하지마세요. 엄연한 절차가 존재하는거고 다 절차 밟아서 제출하는 고소장인데 왜 경찰 개인 맘대로 반려합니까? 반려자체도 본인이 합의해야 반려하는거니까 꼭 접수 완료하세요. 

가령 특정성과같은 요소가 불확실하다 싶으면 위와같은 판례를 참고해 설득해보세요. 아니 닉네임이 말그대로 본명대신 쓰는 가명인데 그 가명과 나와의 관계가 불확실해 특정성 부여가 안된다는게 말이 됩니까 ㅡㅡ;; 


일단 모욕죄가 성립하면 벌금이 수백만원에 달할 수 있으므로 주로 고소장 취하하고 합의금받고 합의봅니다. 

오래걸리고 지방 경찰서(파출소 ㄴㄴ)까지 수차례 출두해야하므로 썩 편리하진 않은 절차입니다만 

한 또라이라도 이런일로 정신차린다면 좀더 평화로운 인터넷 세상이 되지 않겠습니까 허허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대학원생활  (0) 2016.05.06
헬조선  (0) 2016.04.01
GIGABYTE m6980x 사용/AS 후기  (0) 2015.07.01
동서양 생각의 차이.  (0) 2015.04.06
인도네시아 Pondok Indah Mall  (0) 2015.04.04

Gigabyte M6980X 

평이 상당히 좋고 구매자도 많은 마우스라 안심하고 샀는데

컴포인트측의 광고에 속은게 아닐까 할 정도로 빨리 고장났고 

같은 문제로 커뮤니티에 불평 글 올라온 숫자가 많더라구요. 


문제는 휠버튼 클릭. 

헤비게이머긴 하지만 사실 휠버튼 사용 거의 안했는데... 




게이밍 마우스 구입하시는분들중에 많은사람들이 휠클릭 사용하는 FPS유저일텐데 이런 내구도로 과연 제대로 겜을 즐길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또 2달후에 글쓰고 있는 제모습을 보지 않길 바랄 뿐입니다. 

하지만!

AS가 매우 만족스러웠으므로 고장나지 않는다면 확실히 가격대비 우수한 마우스입니다. 


'일상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조선  (0) 2016.04.01
온라인 '모욕죄' 고소 성립 조건  (0) 2015.07.01
동서양 생각의 차이.  (0) 2015.04.06
인도네시아 Pondok Indah Mall  (0) 2015.04.04
조그만한 로컬 영어학원 알바  (0) 2015.03.22

+ Recent posts